223개(1/12페이지)
223.
고대사자료137. 한사군 한반도설과 임나이론부설을 조작한 쓰다소치키와 이
new
2023.06.07,
조회 1
이태수,
고대사137. ○한사군 한반도설과 임나일본부설을 조작한 쓰다소치키와 이병도등 식민사학자 아래 글은 한사군의 한반도설과 임나일본부의 한반도 설치를 주장한 왜놈사학자와 그 추종자에 대한 글을 펌한 것입니다. https://gdlsg.tistory.com/2456 '한사군 한반도설' '삼국사기 초기 기록 불신론' ...
222.
고대사자료135. 쵀태영과 입병도 공저 "한국상고사압문"
2023.06.06,
조회 1
이태수,
고대사135. 최태영과 이병도 공동으로 저작한 “한국상고사입문”의 달라진 한사군 위치http://www.hwandangogi.or.kr/?c=community/155/846&p=3&uid=16534 최태영 박사는 이병도씨를 설득하여 “한국상고사입문”이라는 저서를 출간합니다.(1989) 최태영 박사는 다음과 같이 증언한 바 있다...
221.
고대사자료134. 현도군은 난하(요수) 동쪽 요성성 사이에 있었고, 압록
2023.06.05,
조회 1
이태수,
고대사134. 현도군은 난하(요수)와 요동성 사이에 있었고, 압록강변에서 푸순으로 옮겼다는 한국사통설은 폐지되야 한다. 한국사통설에는 이마니시류(今西龍)와 이나바이와기치(稻葉岩吉) 등 일본학자들이 주장한 현도군의 위치가 평북산악지대에서 만주 푸순(撫順)으로 이치(移置)되었다는 아직까지 그대로 쓰고 있는데, 이는 정말 잘못된 비정(批定)이어서...
220.
고대사자료133. 진서의 대방군과 그 속현은 고구려 국경 부근에 있었고,
2023.06.04,
조회 1
이태수,
고대사133. 晉書의 대방군과 속현은 요서 고구려 국경 부근에 있었고, 황해도가 아니다 ○晉書에 나타난 한사군은1) 朝鮮조선, 2) 屯有둔유, 3) 渾彌혼미, 4) 遂城수성, 5)鏤方누방, 6) 駟望사망의 6개 현(아마도 樂浪 소속일 것이다)이 있었고 7) 帶方대방군 소속의 현에는 8)列口열구, 9) 長岑장잠, 10) 提奚제...
219.
고대사자료132. 고구려 속국이었던 북연은 장수왕 때 고구려에 항복하였다
2023.06.03,
조회 2
이태수,
고대사132. 고구려의 속국이었던 중국의 북연(北燕)은 장수왕 때 고구려에 항복하였다 (위키백과 우 https://ko.wikipedia.org/wiki/%EB%B6%81%EC%97%B0 위키백과 내용에 일부 참고자료를 첨부하여 올립니다)북연(北燕, 407년 ~ 436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때 고구려의 왕족 출신인 ...
218.
삼국사기 동천왕 때 현도, 낙랑은 요수 부근, 평양은 개주시 부근이었다
2023.06.02,
조회 2
이태수,
고대사131. 삼국사기 동천왕 때 현도, 낙랑은 요수 부근, 평양은 개주시 부근이었다. 11대 동천왕 20년(AD 267년)에는 “위(魏)가 유주자사 관구검을 보내 장수 1만 명을 거느리고 현도(*사학자들이 현도를 지금의 무순이라 함은 잘못이다. 현도는 당태종이 고구려 침략 당시 이세적이 지금의 난하이 요수를 건너 바로 현도성을 공격하였으므...
217.
고대사자료130. 이병도의 임둔군 함흥설을 허구이며, 요령성 금서시 태집
2023.06.01,
조회 2
이태수,
고대사130. 이병도의 임둔군 함흥 위치설은 허구이며, 요령성 금서시 태집둔 일대이다. ○ 이병도의 임둔군 함흥 위치설임둔군의 위치는“반도의 동북해안의 땅으로 지금의 함경남도 전체에 비정하는 이병도(李丙燾)의 주장이다. 즉, 『한서』 무제본기의 4군을 설치한 기사의 끝에 붙인 신질이 인용한 『무릉서』에 “임둔군치 동이현은 장안으로부터 6,1...
216.
고대사자료129. 한국교원대교수들이 집필한 "아틀라스한국사&qu
2023.06.01,
조회 2
이태수,
고대사129, 한국교원대 교수들이 집필한 <아틀라스 한국사>에 실린 한사군 지도는 왜곡되었고, 바로잡아야 한다. https://cafe.daum.net/buddhistforest/3EFj/869한국교원대학교의 역사학과 교수들이 양심이 있다면, 필자의 글을 읽어보고 한사군의 위치를 진황도시와 난하 부근에 있는 것으로 다시 그려야 할 것이다.한...
215.
고대사자료128. 식민사학자들의 한반도내 한반도설이 계속되고 있다
2023.05.31,
조회 2
이태수,
고대사128. 식민사학자들의 한반도내 한사군설이 계속되고 있다. 지금 한국의 역사는 왜색 식민사학자들의 한반도내 한사군설이 계속되고 있다. 본인 뿐 아니라 많은 분들이 한사군은 갈석산 부근에 낙랑이 있었고, 한편 수양제가 고구려를 침략한 우십이군(右十二郡)의 4번째 루트에 임둔(臨屯)이 분명히 기록되어 있고, 임둔군의 ”임둔태수장“이라는 봉...
214.
고대사자료127. 평양지역에서 일본인 손에서만 발굴되고 쏟아진 낙랑계 유
2023.04.04,
조회 35
이태수,
고대사127. ○평양지역에서 일본인 손에서만 쏟아진 낙랑계 유물 https://blog.naver.com/gnbone/2210603094951920-1930년대 왜인 관야정(關野貞), 금서룡(今西龍) 등에 의해서 우연히 발견된 대발견이라고 하는 ”점제현 신사비, 점제현 치소터, 대방군 태수묘, 대방군 치소, 낙랑군 치소터 등의 발견이 실로 ...
213.
고대사자료126. 대방군과 그 속현은 수양제 침략경로에 있었고, 황해도가
2023.04.03,
조회 68
이태수,
고대사126. 대방군과 속현은 수양제 침략경로에 있었고, 황해도가 아니다 ○晉書에 나타난 한사군은낙랑군에 속한 1) 朝鮮조선, 2) 屯有둔유, 3) 渾彌혼미, 4) 遂城수성, 5)鏤方누방, 6) 駟望사망의 6개 현이 있었고 7) 帶方대방군 소속의 현에는 8)列口열구, 9) 長岑장잠, 10) 提奚제해, 11) 含資함자. 12)...
212.
고대사자료125. 이병도란놈은 진번군=대방군=황해도란 주장을 계속했다
2023.04.03,
조회 21
이태수,
고대사125. 이병도란 자는 진번군=대방군=황해᠂ 경기도란 주장을 계속했다 이병도는 진번군의 위치가 요동이나 고구려 지역에 있었다는 북방설에 대해 “일소(一笑)에 붙이고도 남음이 있다”고 일축하면서 ‘진번군=대방군=황해·경기도’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그가 이런 근거로 든 것은 고대 사료가 아니라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중국학자 양수경(楊...
211.
고대사자료124. 고구려 6대 태조대왕은 유주자사, 요동태수, 현도태수와
2023.04.02,
조회 34
이태수,
고대사124. ◉고구려 6대 태조대왕은 유주사자, 요동 및 현도태수와 싸워 이겼고, 요동 서안평을 정복하였다. ○구구려 6대 태조대왕(AD 53-146) 때 이미 요서에 10개성을 쌓았다.태조왕 3년(AD 55) 춘 2월에 요서에 10개성을 쌓아 한나라 병사(漢兵)에 대비하였다(太祖大王 三年 春三月 築<遼西>十城 以備漢兵) &n...
210.
고대사자료123. 사마의에게 9천명이 학살당한 공손연의 대방군은 황해도
2023.04.02,
조회 24
이태수,
고대사123. 공손도의 손자 공손연은 사마의에게 패망하여 9,000여명이 몰살되었다. 공손연의 대방은 고구려 서쪽 변경의 땅이다. 공손씨는 공손연의 할아버지 공손도 때부터 대대로 요동 일대를 점거하고 있었다. 공손연의 아버지 공손강은 조조가 원소의 잔존세력을 소탕할 때 원희와 원상을 참수해 화평을 청했다. 221년에 아버지...
209.
고대사자료122. 이병도가 1943년 화랑정신까지 인용해 일본학병을 권유
2023.04.01,
조회 75
이태수,
고대사122. 이병도가 1943년 화랑정신까지 인용해서 일본학병을 권유한 글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07&wr_id=769611 이병도가 1943년 화랑정신까지 인용해서 학도 출진의 대명을 받들고 특별지원병으로 일본제국의 군인이 되고 순충보국할 것과...
208.
고대사자료121. 고대 한국의 청동기술은 세게 최고의 청동기술이었다
2023.04.01,
조회 41
이태수,
고대사121. 고대 한국 청동문명은 세계 최고였다는 글이 있어서 펌했습니다. 복사 https://blog.naver.com/beobun1/49791617 세계 최고의 한국 청동 문명 전편/평남 발굴-비파형 동검은 기원전 3000년 경으로 단군시대/ 고조선/ 한단고기 세계 최고의 한국 청동 문명 전편청동기가 고...
207.
고대사자료120. 21cm 거울에1만3천개의 선을 새겨넣은 세계최고 청동
2023.03.31,
조회 78
이태수,
고대사120. ◉21cm 거울에 1만3천개의 가는 선을 새겨넣은 고대 최고 청동다뉴세문경(靑銅多紐細紋鏡) 한국의 고대역사 기록은 매우 단편적으로 흩어져 있다. 일반인이 알기 어려우므로 이를 이해하기 쉽고 또 활용하기도 쉽도록 이들 고대 역사의 단편적인 기록에 대한 자료를 모아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 자료들이 널리 활용되고 퍼뜨려져서 한사군...
206.
고대사자료119. 서기 200년 초기 평양보성리 고구려 벽화무덤은 낙랑이
2023.03.31,
조회 26
이태수,
고대사119. 서기 200년 초의 평양 보성리 고구려 벽화무덤은 낙랑이 평양에 없었음을 증명한다. 한국의 고대역사 기록은 매우 단편적으로 흩어져 있다. 일반인이 알기 어려우므로 이를 이해하기 쉽고 또 활용하기도 쉽도록 이들 고대 역사의 단편적인 기록에 대한 자료를 모아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 자료들이 널리 활용되고 퍼뜨려져서 한사군이 한반도 내에 ...
205.
고대사자료118. 동북공정으로 한강 이북땅이 모두 고대중국 땅으로 되었다
2023.03.30,
조회 28
이태수,
고대사118. 동북공정에 따라 한강 이북 땅이 모두 고대 중국땅으로 되었다. 한국의 고대역사 기록은 매우 단편적으로 흩어져 있다. 일반인이 알기 어려우므로 이를 이해하기 쉽고 또 활용하기도 쉽도록 이들 고대 역사의 단편적인 기록에 대한 자료를 모아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 자료들이 널리 활용되고 퍼뜨려져서 한사군이 한반도 내에 있다는 XXX...
204.
고대사자료117. 한사군의 바른 위치에 대한 추정 그림이 있어 옮김니다
2023.03.30,
조회 38
이태수,
고대사117. 한사군의 바른 위치에 대한 추정 그림이 있어서 옮김니다. 한국의 고대역사 기록은 매우 단편적으로 흩어져 있다. 일반인이 알기 어려우므로 이를 이해하기 쉽고 또 활용하기도 쉽도록 이들 고대 역사의 단편적인 기록에 대한 자료를 모아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 자료들이 널리 활용되고 퍼뜨려져서 한사군이 한반도 내에 있다는 XXX나 왜색식민사학자들의 잘...